2020년 Black Lives Matter가 일어나 거기에 호응하여 제작한 작품입니다. 중앙 하트의 형태가 비대칭인 것은 선예술의 좌우 비대칭의 아름다움을 답습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흑, 노랑, 백이라는 3개의 인종의 공존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또한 다이아몬드와 같은 기계적인 하트는 2045년에 일어난다고 하는 싱귤러리티에 대해 우리는 피부색의 차이로 다투고 있을 여유가 없다, AI라는 사람을 초월한 기계와 의 공존을 해 나가야 한다는 경종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기계는 눈물을 흘릴 수 없지만 인간의 마음은 누군가를 위해 눈물을 흘릴 수 있습니다. 나는 그것이 인간의 존엄이며, 동료와 이웃을 생각하는 사랑이 정말 아름답다고 항상 생각합니다. 이 생각을 작품에 맡기고, 그 자리에 있는 감상자를 말려들어, 새로운 대화가 태어나는 것으로 이 작품에 사회성이 부여되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싱귤러리티에 주목한 것은 상기 이외에도 이유가 있습니다. 저는 고등학교를 퇴학했고 대학도 자신의 의지로 떠난 후 전문학교에서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전공했습니다. 나는 이때 처음으로 사람의 감정과 감성을 가시화하고 표현하고 싶었습니다. 비유한다면 일본인이 미국에 가서 처음으로 밖의 세계와 만나는 것으로 조국 일본의 아름다움을 확인할 수 있었던 그런 귀속 의식의 확인과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나의 할아버지는 러시아인이었다. 태어날 때부터 신원 크라이시스가 항상 심층 심리부에 있습니다. 항상 사회와 자기의 관계를 생각하지 않아도 되지 않는 나의 배경은, 필연적으로 작품에도 반영되고 있습니다. 제 종교관도 작품 제작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저는 16세까지 기독교를 믿었습니다. 그러나 고등학교를 퇴학하고 나서, 이 세상의 진리에 의문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불교계의 대학에 입학했습니다. 주어진 일방적인 가르침뿐만 아니라 자발적인 배우기를 통해 다각적인 사물의 견해를 기르고 상황을 판단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나는 생각합니다. 이것은 요즘 인종적인 문제에 대해서도 그렇습니다. 학생 시절에는 불교 지식이 미래에 어떻게 도움이 될지 상상할 수 없었습니다. 그러나 지금 말할 수 있는 것은, 해외에서 아트를 발표해 나갈 때, 제 아이덴티티의 하나인 불교는 필수 불가결한 요소라고 단언할 수 있고, 다른 나라의 사람들을 이해할 때, 기독교인이었던 경험도 매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이 작품을 통해서 전하고 싶은 것은, 완전히 다른 경험, 요소, 지식 등 「다양한 점과 점을 잇는 일」은, 새로운 길을 개척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고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다양성을 키우고, 마이너리티에도 존엄과 가치가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재인식하기 위해서도, 매우 의미 있는 경험이 된다고 나는 생각합니다. 이 작품이 서로가 다가가는 사회의 실현에 조금이라도 기여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그것은 예술이 어떤 종류의 사회적 자기장으로서 기능했다는 증명이 되어, 작자로서도 최고의 일시를 연출할 수 있었다고 실감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