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정의 의미는 고통을 부정하고 항상 행복한 척하거나 기뻐하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의 불행과 고통이 뿌리에서 제거될 때 실제적인 긍정이 가능합니다. 하나님께 대한 우리의 태도도 이와 같습니다. 하나님을 경외하고 경외해야 한다는 생각 때문에 고통을 잊으려 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태도가 지배적이라면 하나님을 향한 마음이 솔직하기 보다는 형식적으로 우세하여 하나님과 나 사이에 거리가 생길 수 있습니다. 성경에 나오는 다윗, 욥, 모세, 엘리야, 바울의 기도는 하나님의 마음에 쏙 들며 현대에도 널리 인용되고 있는데 가장 큰 이유는 그들의 기도가 솔직하고 정직했기 때문입니다. 이 작품은 나 자신과 세상의 고통에 대해 정직한 기도로 하나님께 아뢰는 내용을 담고 있다. 총 6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카리스1-4기도의 일부는 기도를 통해 개인적인 고통을 표현하고 카리스5-6기도의 일부는 중보기도를 통해 빈곤, 폭력, 노동, 전쟁 등으로 고통받는 아이들을 표현하고 있다. . karis5의 기도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사랑하는 주님, 제 신앙생활에서 가장 고통스러운 일이자 주님을 향한 첫 적대감이 태어날 때부터 차별된 상태와 상황이 있다는 것입니다. 특히 그 어떤 것도 저항할 수 없고 선택도 할 수 없는 가혹한 상황에 처한 아이들은 전장에서 인간의 방패가 된다. 오 주님, 아무도 죽음과 고통을 위해 태어나기를 원하지 않습니다. 인간의 선과 악 사이를 파악하기 위해 이 아이들을 희생할 생각이라면 이 잔인함을 멈추고 악이 창조한 모든 것에서 아이들을 구하고 보호하고 보호하십시오. 이 모든 기도를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