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부터 시작한 「Layers of Color」시리즈에서는, 구상적인 모티브의 구조로부터 해방된 곳에서, 순수 시각 현상과 같은 회화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본 작품은, 2017년에 들어간 후의 제2작, 동 시리즈 통산 제28작입니다. 명확한 테마도, 메시지도, 모티프도, 플랜도 없는 곳으로부터, 칠이나 깎기의 공정이 하나 끝날 때마다, 다음의 공정을 심판해 나가고, 이윽고 완성이라고 생각되는 화면이(방향도 포함해 ) 결정됩니다. 본작은, 이 시점에서 가장 작은 스퀘어 사이즈인 S3호 사이즈입니다. 게다가 「강한 색을 사용하지 않는 유기적인 느낌으로 한다」라고 하는 막연한 테마가 있었습니다. 그리고는 자유로운 흐름으로 자연 발생적인 전개로, 이 화면에 수렴했습니다. 어른의 색조입니다만, 하부 레이어와 상부 레이어의 관계로부터, 식물의 화석을 파낸 것 같은 재미있는 화면이 나타났습니다. 캔버스는 표리 양면에 꼼꼼한 땅칠에 의한 프리퍼레이션 후, 화면 측에 부분, 끈 맞추어 20층 이상의 묘사로서의 칠을 거듭합니다. 그리고 물을 뿌리면서 내수 샌드페이퍼로 연삭해 가면서 화면을 만들어 갑니다. 가판 위에서 제작해, 완성 후에는, 청소해 건조시키고 나서 나무틀에 붙이기 때문에, 제작상, 위생상에도 지장 없고, 마티에르 특성이나 발색의 퀄리티도 유지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화면은 깎아 내고 있기 때문에 매끄럽고, 후킨 등으로 닦아 청소도 할 수 있습니다. 회화의 특성의 하나, 「중층적인 매직」을 살릴 수 있는 것. 그 지지체 위에 페인트에 의해서만 존재할 수 있는 광경. 물리적 결정으로 그림. 제작을 뜻했을 무렵부터, 나의 욕구에 따른 방법을 1999년에 발견했습니다. 이후 "아크릴 페인트의 적층과 연삭"이라는 일관된 기법 마티에르로 페인팅의 가능성을 추구하고 있습니다.